국제

국제정치이론 (개념/현실주의/자유주의/구성주의)

Dana.H 2024. 2. 7. 19:19

국제 정치란 개별 주권국가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겨나는 정치현상으로, 국가 간 갈등과 분쟁이 전쟁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고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정된 국제 질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.

 

여러가지 국제 정치 이론 중 현실주의, 자유주의, 구성주의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사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예시를 들어보고자 한다. 

 

 

1. 현실주의

현실주의는 모든 나라는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 국제 사회 속에서 다른 나라와 늘 갈등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전제한다.

 

1) 고전적 현실주의

- 고전적 현실주의는 갈등의 원인을 인간 본성으로 본다. 이에 따라 인간이 사는 국가도 자국의 생존을 가장 우선시하고 끊임없이 권력을 위해 투쟁한다. 

- 고전적 현실주의의 입장에서는 국제사회에 언제나 전쟁의 가능성이 존재한다.

- 자조를 강조한다.

 

2) 신현실주의 (구조현실주의)

- 신현실주의에서는 갈등의 원인을 무정부 상태(국제 사회를 컨트롤할 정부가 없어서)로 본다. 하나의 뚜렷한 정부 없이 국가들의 행동을 통제할 수단이 없기에 갈등이 발생한다.

- 양극체제를 가장 안정적인 정치형태라고 주장한다.

 

 

2. 자유주의

자유주의는 국제 사회 속 국가들이 협력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.

 

1) 고전적 자유주의

- 경제적 상호의존을 강조하며 국가가 다른 나라와 상관 없이 혼자 살아남을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고 주장한다.

 

2) 신자유주의

- 무정부 상태를 전제한다.

- 무정부 상태이지만 국가는 국제법이나 국제기구 등을 통해 경제협력, 전쟁 예방, 상호협력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.

- 민주주의, 경제, 국제기구라는 평화의 삼각구도를 강조한다.

 

 

3. 구성주의

- 무정부 상태를 전제한다.

- 국가 외부적인 요인이 아니라 내생적인 결정에 의해 변화하는 국제 사회를 강조한다. (예를들어 고르바초프가 소련의 대통령이 된 후 탈냉전이 된 국제사회를 보고 구성주의는 고르바초프로 인한 소련 내의 변화가 탈냉전을 이끌었다고 보는 것이다.)

 

 

3가지 이론(신현실주의, 신자유주의, 구성주의)적 관점에서 실제 사례를 바라본다면 ~이렇다 할 것이다. 예측해보았다.

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을 두고 신현실주의는 발생원인을 무정부 상태에서 국가들이 무질서하게 행동했기 때문이라고 볼 것이고, 한 나라각 져야 끝날 것이라고 주장할 것이다. 신자유주의는 평화의 삼각구도가 이뤄지지 않아 발생했다고 보며, 국제기구와 국제법 규범 안에서, 또는 두 나라 간의 화해와 협력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. 구성주의는 개별국가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했으며 내부적 정체성 변화로 해결될 수 있다고 볼 것이라고 예상한다.